인터넷 강사 연봉, 얼마나 받을까? (이투스, 메가스터디, EBS 강사의 현실)
얼마 전 중학생이 된 조카가 인강을 듣기 시작했다. 나땐 EBS를 주로 들었고, 돈 좀 있다 하는 애들만 사설 인강을 듣곤했었는데 조카는 학원보다는 메가스터디, 이투스, EBS 같은 플랫폼에서 유명 강사의 강의를 듣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하더라.
근데 사실 모든 선생님들이 정말 열성적으로 가르쳐주시기 때문에 어떤 태도로 강의를 듣느냐가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나 역시도 사설을 들어보긴 했는데 돌이켜보면 정작 내 점수를 높이는데 가장 많은 도움을 받았던 건 EBS였다.
수능이 5개월쯤 남은 6월에 본 모의고사에서 진짜 큰 충격을 받았었다. 영어가 5~6등급이 나와버린것.
와, 이대로는 대학은 커녕 전문대도 못가겠다 싶은 수준이었다. 그때 이건 내가 지금 고3 수준을 할 건 아니다, 고1부터 다시 하자는 마음에 잘 가르쳐준다 하는 인강을 찾았다. 하지만 학생신분이 돈이 어디서 나오겠는가, 다 부모님 주머니에서 나오는 걸. 당시 우리집은 그렇게 형편이 좋지 않은 편이였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는건 EBS 뿐이었다. 그래서 이거라도 붙잡자 하는 마음에 여름방학 내내 처음으로 인강1시간 듣고 2시간을 복습하기 시작했다. 그냥 감으로 풀기 시작했던 걸 이제 왜 그런지 이해하게 되었고, 결국 영어를 2등급까지 올리는데 성공했다.
요즘도 정말 인기있는 정승제 선생님, 이지영선생님은 여전히 탑티어를 유지하고 있는 걸 보면서 성공하는 사람들은 뭘 해도 다르구나 싶다.
그러다 문득 궁금해졌다. 인터넷 강사들은 얼마나 벌까?
TV 광고에서도 유명 강사들이 나오고, 몇몇은 연예인처럼 인기도 많던데, 정말 수억 원씩 번다는 게 사실일까?
그래서 직접 찾아봤다. 인터넷 강사의 연봉은 강의 플랫폼과 인기, 경력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생각보다 격차가 컸다. 최상위 스타 강사는 억대 연봉을 받지만, 대부분의 일반 강사는 중소기업 직장인 연봉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투스, 메가스터디, EBS에서 활동하는 인터넷 강사들의 실제 연봉 수준과 수익 구조를 정리해봤다.
1. 인터넷 강사의 연봉, 정말 수억 원을 벌까?
상위 1% 스타 강사는 수십억 원을 벌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강사는 연 5천만~1억 원 수준이다.
인터넷 강사 대략적인 연봉을 비교해보면 아래와 같다.
탑 티어 (최상위 1%) | 10억~50억 원+ | 메가스터디, 이투스 대표 강사 / 입시 트렌드 주도 |
중상위권 (상위 10%) | 2억~10억 원 | 과목별 인기 강사 / 단과 & 패키지 강의 다수 보유 |
중위권 (일반 강사) | 5천만~1억 원 | 플랫폼 전속 계약 또는 독립 강사 |
초기 강사 (신입 & 무명 강사) | 3천만~5천만 원 | 강의 수 적고 브랜드 파워 약함 |
이런 수익의 차이는 어디서 오는걸까, 4가지 이유가 있었다.
- 강의 플랫폼 – 메가스터디, 이투스 같은 사교육 중심 플랫폼이 수익이 높음
- 강사의 인기 & 브랜드 파워 – 유명 강사는 강의료 협상력이 높음
- 강의 판매 방식 – 개별 강의 vs 패키지 강의 vs 정기 구독 모델
- 출판 & 부가 수익 – 교재 판매, 출판 인세, 유튜브 수익 등 추가 수익 가능
2. 플랫폼별 인터넷 강사 연봉 차이
인터넷 강사의 연봉은 어느 플랫폼에서 활동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클 수밖에 없다.
사설인강(메가스터디, 이투스) | 강의료 배분율: 매출의 30~50%를 강사가 가져감 유명 강사는 연봉 10억 원 이상 가능 과목별 수강생이 많을수록 강의료 수익이 증가 |
EBS | 고정급 + 강의 수당 (한 강좌당 일정 금액) 연봉: 3천만~7천만 원 수준 대중적 인지도를 쌓기에는 좋지만, 상업적인 수익은 적음 주로 실제 학교 선생님들이 강의하시는 경우가 많음. |
유튜브 & 독립 강사 | 강의료 없음, 광고 & 멤버십 & 교재 판매 수익이 핵심 성공하면 수억 원 가능, 하지만 실패할 위험도 큼 처음 시작하는 강사님들에게는 비추 |
처음에는 조카의 공부 방법을 찾아보다가 인터넷 강사의 연봉까지 알아보게 됐다. 생각보다 격차가 크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눈으로 보니 정말 큰 차이이구나 싶다. 스타 강사는 연예인 못지않은 수익을 올리지만, 대부분의 강사는 일반 직장인 수준의 연봉을 받는다.
그래서 인터넷 강사도 결국 단순히 강의만 잘한다고 성공하는 게 아니라, 브랜드를 키우고 마케팅을 잘해야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구조라는 걸 깨달았다. 물론, 그 전에 좋은 강의를 제공하는 것은 당연하고 강사가 학생을 대하는 태도에서 차이가 날 것이라고 본다.
대표적으로 정승제 생선님은 한 예능 프로그램에 나와 같은 문제를 여러번 풀이하고 다른 직원들과 회의하면서 수학을 포기한 아이들도 이해할 수 있게 정말 쉽게 설명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하는 모습을 보았다. 이 선생님이 지금까지도 탑을 유지하는 이유가 있다는 것이 딱봐도 보였다. 아이들을 돈으로 보는게 아니라 진짜 한 사람 한 사람 사랑하는 마음으로 강의를 하는게 보였다.
어떤 직종이든 자신의 직업을 사랑하고 발전시키다보면 정점에 설 수 있겠구나 하는 걸 이분을 보며 배우게 되는 듯 하다.
'연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버 인플루언서 실제 수익 얼마일까 (1) | 2025.03.21 |
---|---|
프리랜서(계약직) 정규직과 차이는? (2) | 2025.03.21 |
스타트업 대박 나면 연봉도 뛰나? (3) | 2025.03.20 |
공무원 연봉, 대기업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일까? (3) | 2025.03.19 |
컨설팅 VS 금융 업계별 연봉, 보너스 구조, 업무환경, 커리어 성장 가능성 (맥킨지, BCG, 골드만삭스, JP모건) (1) | 2025.03.19 |